워드프레스 FTP 자격인증 저장

Public Information Title Image

이미 다른 블로그들에서 장황하게 설명한 내용이겠지만 제가 스스로 잊어먹기 전에 이곳에도 작성해둡니다.

워드프레스를 처음 설치하여 이용하는 경우 플러그인 설치며 업데이트며 죄다 FTP를 통해 진행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놀랍게도 자격인증(계정정보) 저장 기능이 없어 매번 입력해줘야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하죠!

솔직히 저는 웹서핑을 많이 하는 환경에서의 빈번한 비밀번호 입력이 보안성을 오히려 떨어트린다(비밀번호 유출 가능성을 높인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자격증명 저장이 꼭 나쁘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암호화된 패스워드를 볼 수 있는 마스터키(계정)의 노출 문제라면 또 모를까…

아무튼, 워드프레스의 FTP 자격인증을 저장하는 방법은 고작 두 줄에 불과합니다.

  1. wordpress가 설치된 파일 경로에서 wp-config.php 열기
  2. 하단의 코드 3줄[FTPS 사용시 4줄] 입력 후 저장하기
/* (생략) */
/* Add any custom values between this line and the "stop editing" line. */

define( 'FTP_USER', '[ID]' );
define( 'FTP_PASS', '[PASSWORD]' );
define( 'FTP_HOST', 'localhost:21' );

/* FTPS 사용 시 하단의 define 추가 */
define( 'FTP_SSL', true );

FTP_USER와 FTP_PASS에 입력할 계정 정보는 워드프레스 관리자 계정이 아닌 FTP 서버(워드프레스가 설치된 서버)의 관리자 계정 정보가 입력되어야 합니다.

FTP_HOST의 경우 워드프레스가 설치된 서버의 도메인주소 및 FTP 포트를 입력하면 되나, 일반적으로는 localhost:21 를 입력하는 것으로 해결됩니다.

하단의 define( ‘FTP_SSL’, true ); 의 경우 FTPS (FTP Secure) 사용을 위한 코드입니다.

참고로 FTPS는 FTP 프로토콜 기반으로서, SSH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SFTP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SFTP를 사용한 연결을 지원하고 싶다면 별도 플러그인[SSH SFTP 업데이트 지원]을 설치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정보 입력이 짜증나는 분들은 위의 정보를 다 무시하고 그냥 다음의 코드를 입력해주세요.

define( 'FS_METHOD', 'direct' );

웹서버의 권한으로 파일시스템에 직접 접근하라는 코드로서, 말 그대로 직접 연결이기에 성능적으로는 제일 빠르겠지만 보안의 관점에서는 썩 즐거운 방향성은 아니긴 합니다.

뭐, 애초에 개인 블로그에서 이러쿵저러쿵 따질만한 일도 아니니 저도 direct 방식을 사용할 걸 그랬나 하는 생각도 들지만요.

댓글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